신체기능3 심장, 호흡계통의 구조와 기능 [최대산소섭취량, 심박수의 감소] 심장, 호흡계통의 구조와 기능 1. 가스 교환의 구조 가스교환의 주역인 허파는 '허파꽈리'라고 하는 작은 주머니들의 집합체이다. 허파꽈리는 약 6억 개가 있으며, 그 모두를 펼친 표면적은 약 60m²으로 테니스코트의 반에 해당한다. 입과 코로 들이마신 공기는 목으로 들어간 기관, 기관지를 통과하여 허파 속에서 고루 퍼진다. 기관지 좌우의 허파 안에서 미세하게 나눠지며, 그 말단에 허파꽈리가 포도송이처럼 붙어있다. 허파꽈리의 주변에는 많은 모세혈관이 있다. 허파꽈리 안으로 빨아들여진 공기와 모세혈관 속에 있는 혈액은 합쳐서 0.001mm도 되지 않는 2장의 얇은 벽인 세포층을 사이에 두고 가스교환을 한다. 산소는 허파 꼬리에서 동맥으로, 이산화탄소는 정맥에서 허파꽈리로 운반된다. 인간은 하루에 약 600L.. 2022. 12. 1. 근육계통의 구조와 기능 [지근과 속근, 근수축의 메커니즘, ATP란?] 근육계통의 구조와 기능 1. 근육의 종류 일반적으로 근육이라고 할 때에는 '뼈대 근육'을 칭한다. 뼈대 근육은 골격에 힘줄로 부착되어 대뇌에서 신경전달을 받아 자유의지로 움직일 수 있는 '수의근'이다. 근육 표면의 모양 때문에 '가로무늬 근육' 이라고도 한다. 뼈대 근육은 체중의 약 50%를 차지하며, 거의 전신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골격이나 관절과 연계되어 신체운동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한편 소화기, 호흡기, 혈관 등 내장을 형성하는 근육은 '민무늬 근육' 혹은 '내장 근육'이라고 한다. 이것들은 자유의지로 컨트롤할 수 없는 '불수의근'이다. 또한 심장의 벽을 만들고 있는 심장근육은 뼈대 근육과 민무늬 근육의 특징을 두루 갖추고 있는 특수한 근육으로 불수의근이지만, 생명유지에 필요한 수축을 자동 조.. 2022. 11. 30. 체력의 3요소 '근력', '지구력', '유연성' 체력이란? '체력'이라는 말은 종종 불명확한 개념으로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면 포환 던지기 선수처럼 체격이 큰 사람을 가리켜 '체력이 있어 보인다'라든지, 엄청난 기록을 수립한 마라톤 선수에 대해 '엄청난 체력이다'와 같이 말한다. 확실히 이러한 것들도 '체력' 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체력은 어떠한 요소가 우월한지는 설명이 필요하다. 앞에서 예를 든 표현으로 해석하면 포환 던지기 선수는 '근력'이, 마라톤 선수는 '지구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정신적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마라톤에 도전하는 포환 던지기 선수를 보거나, 마라톤 선수가 포환을 던지는 모습을 보면서 '체력이 뛰어나다'라고 평가할 수 있을까? 그 특성에 맞는 몸만들기를 목표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다시 말.. 2022. 11.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