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재활 프로그램
1. 도수치료
(1) 마사지
근육의 피로회복과 스포츠 선수의 컨디셔닝에 효과적이다. 상해 발생 후에는 운동요법과 도수치료법 등을 조합시켜 실시한다. 운동재활트레이너는 마사지를 하는 사람이라는 이미지가 아직까지 강하지만, 마사지는 어디까지나 운동재활에 관련된 하나의 수단이므로 필요에 따라 실시한다. 마사지 기술은 경험을 필요로 하므로 여러 번 반복해서 연습해두어야 한다.
(2) 스트레칭
스트레칭은 타동적으로 근육 등의 연부조직을 서서히 늘려주는 방법으로, 컨디셔닝에는 효과적이다. 근육이 차가운 상태에서 빠르고 강한 수동적 스트레칭을 실시하면 위험하다. 또한 근좌상 보호기에 실시하는 수동적 스트레칭은 상해 재발과 뼈되기근육염을 발생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실시해서는 안 된다.
(3) 관절 모빌리제이션
이것은 상해 발생 후 관절 경축 시에 관절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맨손으로 관절을 움직이는 방법이다. 관절마다 관절각도나 움직이는 방향이 정해져 있으므로 해부학지식과 촉진기술이 필요하다. 인대손상 후나 염증이 있는 단계에서 실시하면 위험하다. 관절 모빌리제이션에서는 관절을 맨손으로 견인하는 경우도 있다.
2. 물리치료
물리치료란?
운동재활을 실시하는 동안 통증 완화, 가동범위 회복, 상처치료, 긴장완화, 근력 향상 등을 위해 각종 위료 기구를 이용한 물리치료법이 실시된다. 물리치료란 열, 전기, 빛, 자기, 음파 등의 물리적인 에너지를 인체에 작용시키는 이학요법 중의 하나이다.
물리치료법은 어디까지나 인체의 보조적으로 작용하여 염증을 억제하는 데 지나지 않는다. 자극이 너무 강하면 염증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각 물리치료기구는 적절한 사용빈도, 강도, 시간, 금기사항 등을 이해한 상태에서 실시해야 한다.
스포츠상해와 운동재활
스포츠를 둘러싼 환경이 개선되고, 국내외에서 활약하는 스포츠 선수가 많아지고 있는 반면 스포츠상해를 입는 스포츠 선수도 많아졌다. 스포츠 선수가 부상을 입은 다음 스포츠 활동에 복귀하려면 일반인들이 사회복귀를 목적으로 하는 메디컬 리허빌리테이션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스포츠 선수의 경우 스포츠 활동에 복귀하려면 근력, 근파워, 전신지구력, 근지구력, 밸런스, 유연성, 등 각 경기에서 요구되는 운동능력과 함께 전문적인 동작과 기술 수준을 원래의 수준까지 회복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상해 발생부터 환부에 부담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면서 보다 적극적으로 재활훈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운동선수 리허빌리테이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의사의 진단과 치료를 기반으로 하여 메디컬 리허빌리테이션이 이루어지지만, 운동재활은 현장의 운동재활트레이너가 지휘를 맡고, 필요에 따라 의사, 물리치료사 등이 협력하여 진행하게 된다.
'트레이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산소 운동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ft. 체지방을 가장 빨리 태우는 법, 체지방 감량하는 법), 집에서 유산소 운동 추천 (2) | 2022.12.20 |
---|---|
관절의 유연성 증가시키는 방법, 유연성 스트레칭 (6) | 2022.12.07 |
지구력이란? [유산소지구력, 무산소지구력] 유산소지구력향상 트레이닝의 변화 (4) | 2022.12.05 |
크로스 트레이닝이란? 크로스 트레이닝의 효과, 특징, 방법 (1) | 2022.12.03 |
트레이닝의 원리와 원칙 트레이닝의 효과, 운동의 효과, 초회복기간, 운동 후 회복 (2) | 2022.12.02 |
댓글